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간 대덕특구 7개 출연연 소속 500여 명의 용역 근로자들의 공백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이하 공공연구노조)은 10일 대전시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본관 일원에서 간접 고용노동자에 대한 '직접고용 정규직 쟁취' 투쟁 출정식을 열고,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전국에서 모인 300여 명으로 구성된 공공연구노조는 이날 "사측은 비정규직 파견 근로자들을 자회사 직원으로 전환시키려는 행위를 멈추라"며 "길게는 20여 년간 (이 기관에) 몸 담아 청소·관리·보안 근무해 온 근로자들을 조속히 정규직으로 전환하라"고 요구했다.
지난해 7월 공공기관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이 발표됐음에도, 출연연구기관들이 정부정책 취지에 반하는 자회사 방안을 일방적으로 강요하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소관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역시 이 같은 사용자의 행태에 대해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며 "직접 고용을 통한 정규직 전환이 이뤄질 때까지 파업에 나설 것"이라고 못 박았다.
한국연구재단을 제외하고 KISTI를 비롯한 나머지 20여 개 출연연구기관들은 정규직 전환을 꺼리고 있는 상황.
노조 관계자는 "사측(KISTI)이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정직원으로 전환시킨 후 이에 드는 예산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며 "정규직 전환 후 들어갈 예산을 도출해 이미 사측에 제출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정규직 전환 후 기존의 입찰계약 때처럼 수수료나 업체 이익금으로 빠지는 돈이 없어 상대적으로 사용가능한 예산이 늘어난다"며 "정직원이 된 근로자들에게 적정 임금을 올려주더라도 사실상 예산총액은 기존과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KISTI 관계자는 "정규직 전환 여부를 논의 중이다. 내주에 있는 기관장 모임에서도 이 문제가 다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도 "이미 정규직 전환이 완료된 몇몇 연구기관은 자체 건물이 아닌 곳에 입주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청소 등 관리를 기관이 하지 않기 때문에 정규직 전환에 대한 부담이 크지 않다. KISTI와는 성격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노조는 이날 오후에는 세종국책연구단지 앞에서 '직접고용 정규직 전환 쟁취를 위한 파업투쟁 승리 결의대회'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