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의 공모이벤트가 스스로 제시한 공모 조건을 어기고 당선작을 선정해 빈축을 사고 있다. 반발이 일자 "권고사항"이라는 해명을 내놓았지만, 오히려 궁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8일 산자부에 따르면, 산자부는 지난해 11월 1일 SNS 페이지의 새 이름을 공모했고 12월 5일 당선작 1개와 아이디어상 수상작 20개를 발표했다.
그런데 공모에 참여했던 김모(32·대전)씨는 납득할 수 없는 부분을 발견한다. 본인의 응모작을 명단에서 찾을 수 없었던 것은 차치하고, 당선작들 중 '통상', 'FTA' 등의 특정 단어가 다수 포함된 것.
공모 당시 포스터에는 '단, FTA나 통상이라는 단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말아주세요'라는 사항이 명시돼 있었다. 그러나 아이디어상 수상작 중 ▲전지적 통상시점 ▲easy통상 ▲FTA land ▲FTA스토리움(FTAstorium) 등 4개(사진 오른편)에 해당 단어가 포함돼 있다.
일부러 두 개 단어를 배제하고 고민한 자신의 공모작은 정작 선정되지 않아 억울함은 더 했다. 김 씨는 수상작 명단 게시물 댓글을 통해 이에 대해 문의하는 글을 올렸다. 그러나 산자부의 태도는 그를 더욱 분개하게 만들었다.
공모 담당자는 "참가자 대부분이 FTA 및 통상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네이밍으로 응모해 심사에 고민이 많았다"면서도 "해당사항은 권고사항으로 평가기준에 탈락으로 규정한 부분은 아니다"라고 답변했다.
덧붙여 "네이밍 선정은 내부 심사 및 투표에 의해 공정하게 진행되었으므로 이에 대해 많은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남겼다.
"쓰지 말라는 기준을 제시해놓고, 그걸 어긴 작품을 선정한 과정을 놓고 '공정'하다니.." 결국 김 씨는 지난해 12월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제기해 해명과 공개 사과를 요청했다.

산자부 측은 이에 대해 해명하고 끝내 사과의 뜻을 전했다.
산자부는 "많은 응모작에 FTA와 통상이 포함돼 있었다"며 "대상 선정시에는 (두 단어가 포함된) 응모작들을 배제했지만 모든 작품들을 배제할 경우 심사대상이 너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전에 '심사에서 제외하겠다'고 명확한 안내도 없었던 점을 감안해 (두 단어가 포함된) 작품들까지 포함하여 선정했다"며 "결과적으로 권고사항을 지켜주신 참가자분들께 혼란을 드리고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해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후 16일 산자부의 SNS 페이지에 뜬 로고사진에 '통상'이라는 단어가 버젓이 올라와 있었다. 김 씨가 또 한번 당혹감을 하소연 하게 된 이유다.
김 씨는 "당초 네이밍 공모시 권고사항과는 달리 이제는 '통상'이라는 단어를 대놓고 사용하는 산자부의 행태가 이에 참여한 사람들을 우롱하는 걸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산자부는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정부 부처가 이런 작은 부분도 약속을 지키지 않으니 행정의 신뢰가 무너지는 것 아니냐"고 일갈했다.
이에 대해 <충청헤럴드>와의 통화에서 산자부 소속 담당자는 "특정 단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말아달라는 내용은 권고사항이었을 뿐"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유지하며, "현재 SNS페이지에 있는 '통상'이라는 단어와 권고사항은 별개"라고 해명했다.
또 "앞서 (선정과정에서) 혼란을 드린 부분에는 충분히 사과의 뜻을 밝혔다"면서 답답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김 씨는 정보공개 포털에 당시 공모전에 접수됐던 전체 응모작 명단 공개를 요청해 놓은 상태다.
산자부 측의 “참가자 대부분이 FTA 및 통상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네이밍으로 응모했고, 모든 작품들을 배제할 경우 심사대상이 너무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해 고민이 많았다”는 발언을 놓고서다.
김 씨는 “산자부는 ‘대부분’을 몇 명까지로 보는지도 궁금하다. 문제를 무마시키려 거짓으로 해명한 건 아닌지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며 “현재 전체 응모작 공개를 기다리는 중”이라고 밝혔다.
산자부는 네이밍 공모 발표과정에서 혼선을 빚은 사과의 뜻으로 자체 심사에 따라 10명에게 추가적으로 아이디어상에 해당하는 상품을 지급한다고 지난해 12월 31일 페이지 게시글을 통해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