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대전 정치권 "아시안게임 유치, 가난한 집 빚 잔치”
대전 정치권 "아시안게임 유치, 가난한 집 빚 잔치”
  • [충청헤럴드=박성원 기자]
  • 승인 2019.02.12 16: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막대한 혈세 낭비로 인한 재정압박 초래” 반대 성명
충청권 4개시도 '2030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에 대해 지역 정치권이 재정손실 등을 우려하며 반대 입장을 내놨다. 사진은 지난 7일 충청권 4개 시도자들이 모여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를 위한 협약식 체결 장면.
충청권 4개시도 '2030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에 대해 지역 정치권이 재정손실 등을 우려하며 반대 입장을 내놨다. 지난 7일 충청권 4개 시도자들이 모여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를 위한 협약식 체결 장면.

충청권 4개 시·도가 ‘2030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에 나선 가운데, 대전 지역 정치권에서 막대한 재정 손실 등을 우려하며 유치 철회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아시안게임 준비를 위한 예산 확보 시 정치권의 이해와 협력이 필수인 만큼, 정치권의 반대기류로 허태정 시장이 극복해야 할 과제가 또 하나 늘어나게 됐다. 

바른미래당 대전시당은 12일 논평을 통해 “허태정 시장의 이벤트성 체육 행사의 유치를 강력히 반대한다”라며 “허영된 이벤트로 대전시민과 충청민들을 우롱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른미래당은 “지금까지 아시안 게임 흑자 대회는 역사상 없었다”며 ▲아시안게임 유치를 위한 민간단체 모집 ▲기금 강요 우려 ▲유치 경제에 의한 혈세 낭비 ▲유치 후 조직위원회 구성 시 행정력 낭비 ▲관람객 유치 ▲기업 스폰서 문제 등을 언급했다. 

이들은 특히 지난 2014년 아시안게임을 치룬 인천시와 비교하며 “인천의 경우 63%의 재정 자립도와 인천국제공항, 인천항 경제자유구역을 보유했고, 300만이 넘는 인구이기에 나름 극복이 가능했다”며 “하지만 대전의 경우 재정 자립도(39.5%) 및 인천의 반도 안 되는 인구로 막대한 재정 압박을 극복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가난한 집에서 빛 잔치를 치르는 겪”이라며 “국제 이벤트로 노리는 지역 발전에 효과는 미비할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이어 “지역과 연관된 차별적인 관광자원 및 복합시설 부제 등 단순히 아시안게임만 보기 위해 외국인 관람객 유치가 성공적으로 가능할지 가늠이 되지 않는다”며 “허 시장은 헛된 망상을 집어치우고 대전의 경제를 살리기 위해 몰두해야 할 것”이라고 유치 철회를 촉구했다.

자유한국당 대전시당 역시 앞선 10일 아시안게임 유치 계획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한국당은 “화려한 국제대회 이후 막대한 재정 손실과 그로 인한 부담을 또다시 간과하고 있다”며 “최근 평창 동계올림픽 1주년을 맞아 언론과 전문가들이 쏟아낸 평가는 빛보다는 어두운 그림자가 훨씬 많다”고 강조했다.

또 대전 월드컵경기장 사례를 들면서 “경제적, 사회적 효과는 미미한 반면 향후 엄청난 재정적 부담만 가중시킨다는 점을 증명하고 있다”며 “비용 문제는 걱정 없다고 호언장담 할게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 7일 허태정 대전시장과 이춘희 세종시장, 이시종 충북도지사,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대전시청에서 ‘2030 하계아시안게임 공동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