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유성구 한화공장 폭발사고로 근로자 3명이 사망한 가운데 정치권이 철저한 원인조사를 촉구하며 공장 측의 관리감독을 비판하고 나섰다.
바른미래당 대전시당 이종철 대변인은 14일 성명을 통해 "지난해 5월에도 폭발사고로 5명이 사망한 한화 대전공장은 불과 1년이 채 되지 않아 또 다시 참극이 발생했다. 놀랍고 참담할 따름"이라고 충격과 안타까움을 표했다.
이 대변인은 또 "군수공장에서 '국민 안전'에 또 구멍 뚫렸다는 사실에 국민들은 불안과 걱정이 크다"며 "국가보안목표 '가 급'에 해당하는 중요 시설에서 1년 사이 2번의 화재가 발생할 동안 관계당국은 무엇을 했는지 변명의 여지가 없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업체와 관계당국은 이번 폭발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재발방지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공장 직원과 인근 주민들이 더 이상 불안에 떨지 않도록, 관계당국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대전시당도 또 한번 일어난 참변에 답답함을 드러냈다.
남가현 정의당 대전시당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지난 해 사고 이후 철저하게 사고 원인을 조사해 다시는 이와 같은 사고가 반복되지 않겠다고 머리를 숙였지만, 재계순위 8위의 대기업 ㈜한화의 그 말은 그냥 해본 소리에 불과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이어 "아무 것도 변하지 않았고, 그 결과 또 몇 개의 세상이 허망하게 무너져 내렸다"며 "일터가 조금이라도 안전한 환경으로 변했더라면 지킬 수 있었던 목숨이었다"고 주장했다.
또 "정의당은 철저하게 사건을 조사하고, 책임자를 처벌해 위와 같은 사고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는 안전한 노동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한화 대전공장은 유도무기를 생산하는 방위산업체로 지난해 5월 29일 오후 4시 17분께 로켓추진체 연료 주입 중에 폭발해 현장에서 2명이 숨지고, 3명이 화상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 사망했다.
이어 14일 오전 8시 42분께 공장 내 위치한 70동 이형공실에서 폭발사고가 나 직원 3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을 입었다.
소방 당국은 이날 폭발 사고의 원인을 로켓 추진체에 있는 연료 용기를 분리하는 작업을 하다가 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