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4일 발생한 한화대전공장 폭발사고에 대해 대전시 차원의 특별점검에 이어 대전시의회에서도 재발방지 및 안전대책 수립을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대전시의회는 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TF 및 특별위원회 구성을 예고하고 시의회 차원의 제도적 제동장치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대전시의회 시의원들은 19일 의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폭발사고에 대한 한화대전공장의 총제척 안전관리 부실을 규탄한다”며 “명확한 사고원인 규명과 안전대책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그동안 한화대전공장은 방위사업체라는 이유로 보안상 접근도 불가한 채 안전점검이 재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부실한 안전대책으로 인근 대규모 아파트단지 주민들의 안전마저 위협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안전관리 부실로 8명의 생명을 앗아간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고 철저한 재발방지와 안전대책을 수립·시행하라”고 요구했다.
또 “대전시는 국가보안시설이라는 이유로 안전점검으로 소극적으로 대처하지 말아야 한다”며 “공장 근로자와 인근 주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종합대응 관리체계와 안전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대전시의회는 이번 사건과 관련 자체 TF를 구성, 실질적 재발방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전시의회 김종천 의장은 “시의회 차원의 제도적 제동장치를 마련하겠다”며 “이번 폭발사고에 대해 재발방지를 위한 TF팀을 구성하고 특위 구성과 관련해 의원들과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종호 복지환경위원장은 “방위산업체라 보안이 철저하다. 국민이나 노동자가 알 수 없는 점이 많다”라며 “한화노동조합 등을 만나 상황을 점검하며 의회차원에서 신랄하게 파헤치겠다”고 강조했다.
계속해서 시의원들은 사업주 처벌 강화와 함께 징벌적 배상제도 도입을 정부에 요구했다.
이들은 “국가는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전국의 방위사업체들과 위험물 취급시설들에 대해 철저한 시설점검 및 안전관리대책 마련을 촉구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