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 맡긴 것은 대전시 책임 회피 위한 전략”

대전시가 ‘베이스볼 드림파크’ 부지 선정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김용원 대전 동구청장 비서실장이 선정 기준에 대한 불공정을 주장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28일 김 비서실장은 대전시의회 기자실에서 회견을 갖고 “대전시가 베이스볼 드림파크 후보지 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시한 것은 시기적으로 잘못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날 “8개월 이상 용역을 진행했고, 3월에 용역 결과가 나오는 시점에 선정기준을 다시 발표한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앞서 지난 18일 대전시는 새야구장 선정을 위한 입지환경, 접근성, 사업실현성, 도시활성화, 경제성 등 5개 항목을 평가하는 후보지 선정기준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 비서실장은 “지난해 8월에 대전시가 내려준 과업지시서대로 7~8개월 이상 준비를 해왔는데, 대전시가 새로 발표한 내용은 논리적이지도 않고 비객관적이다”고 주장하며 “시민들의 의견이 무시됐다. 이로 인해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도 있다”고 피력했다.
특히 “토지매입비와 공사비 등을 경제성이라고 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면서 “대전시가 2030아시안게임을 유치하겠다는 것처럼, 경제성은 경제적 파급효과를 봐야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전문가 50명의 정성적 평가도 반영하겠다는 대전시의 방침에 대해서도 “주관적 요소가 가미되는 평가방식으로, 특정지역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주장하며 “전문가선정을 용역업체 맡기는 것은 대전시가 모든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전략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승복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시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문제점을 계속 제기할 수밖에 없다”고 대전시를 향해 경고했다.
한편, 대전시는 2025년 개장을 목표로 총사업비 1360억 원을 투입, 1만3000석 규모의 대전야구장(현 한화생명이글스파크)을 2만2000석으로 늘릴 계획이다.
후보지는 동구 대전역과 중구 한밭종합운동장(현 야구장 부지), 유성구 서남부종합스포츠타운, 구암역 일원, 대덕구 신대동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