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대전시와 민주당, 두 시간 같은 ‘25분’
대전시와 민주당, 두 시간 같은 ‘25분’
  • [충청헤럴드=박성원 기자]
  • 승인 2019.03.07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수첩] 22개 현안 논의 25분 만에 끝낸 당정간담회…‘보여주기식 행정’ 전형
6일 대전시와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당정간담회 장면.
6일 대전시와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 당정간담회 장면.

‘25분’. 6일 대전시와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가진 당정위원회에서 실무적인 대화가 오간 시간이다. 

허태정 대전시장과 민주당 조승래 대전시당위원장, 박병석·이상민·박범계 국회의원과 박종래·강래구 지역위원장, 시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이날 간담회는 시와 정치권의 협조체제와 공감을 형성하는 자리인 만큼 많은 관심이 쏠렸다.

특히, 현재 대전시에 닥친 주요 현안들에 대한 주제들이 대상이었다. ‘지역 인재채용 역차별 개선’과 ‘국가 혁신성장 허브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 등 공동발전 6개 과제와 현안·국비 16개 과제 등 22개가 그것이다.

하지만 오후 3시 10분께 시작한 간담회는 40분 후인 3시 50분께 종료됐다. 1시간도 채 걸리지 않았다. 심지어 전체 시간 중 15분가량을 참석자 소개 및 인사말에 할당했다. 오로지 간담회에 소요된 시간은 인사말을 뺀 나머지 ‘25분’이었다.

이 ‘25분’이 총 22개의 지역 현안을 논의하는 시간으로 충분할까. 혹여나 본 기자만 너무 짧게 느껴진 것인가 싶어 이날 간담회에서 대전시가 준비한 47페이지 분량의 자료를 직접 읽어봤다.

총 23분가량이 걸린다. 1페이지 당 30초가량 소요된다. 수치상이지만,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이 자료를 읽어본 뒤 논의할 수 있던 시간은 단 2분뿐인 셈. 

어학사전에 간담회는 ‘친밀하고 진지하게 이야기하면서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모임’이라고 설명돼있다. 이날 참석자들은 2분 만에 22개 과제에 대한 논의를 마친 것이다. 놀라울 따름이다.

다만, 간담회를 비공개로 진행하는 바람에 이 광경을 직접 목격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지역의 한 정치학과 교수에게 이 상황에 대해 물었다. 그는 단번에 ‘보여주기식 행정의 전형적인 한계’라고 혹평했다.

그러면서 “간담회 전 모든 과제에 대해 사전 조율됐을 가능성도 있지만, 국회의원과 대전시의 관계를 봤을 때 사전 협의가 이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지역 현안이 쌓여있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교감을 위한 시도는 있었겠지만 이날 회의를 시간적으로 봤을 땐 보여주기 행정의 전형적인 단면이라 보여진다”고 지적했다.

25분. 상황에 따라 길수도, 또는 짧을 수도 있는 시간이다. 그러나 150만 시민의 민생과 직결된 22개 현안을 들여다보기에는 터무니없이 짧은 시간이 아닐까. 

타 지자체는 일반적으로 비슷한 성격의 행사에 1시간~2시간씩 공을 들인다. 대화시간이 간담회를 평가하는 전부는 아니지만, 더 이상의 ‘보여주기식’ 대화는 없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