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낙연 국무총리가 '대전 3.8민주의거'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을 시사하면서,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기념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이 총리는 8일 오전 대전시청 남문광장에서 열린 ‘3.8민주의거의 제59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대전시가 정부에 요청하고 있는 3.8민주의거 기념사업들에 대해 “합리적 지원 기준을 만들어 지원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기념식은 지난해 11월 충청권 최초의 학생운동인 3.8민주의거를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이후 처음 열리는 정부기념 행사로, 이 총리와 정부 측 주요인사, 허태정 대전시장, 3.8민주의거 참여자, 시민, 학생 등 약 17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다.
이 자리에서 이 총리는 “3.8 민주의거로 우리나라 민주화의 초석을 놓아준 유공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3.8 민주의거를 포함한 모든 민주화 운동 유공자들에게 합당한 예우를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3.8 의거는 대전충청에서 처음 일어난 민주화 운동이었다”며 “대전충청은 역사의 기로마다 중심적 역할을 수행해 온 자랑스러운 지역이다. 앞으로도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중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고 강조했다.
또 “지금 우리는 한반도 평화정착과 민족 공동 번영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그 평화와 번영의 길에 대전충청이 중심에 서서 걸어주길 바란다”면서 “59년 전 오늘 대전의 학생들이 자유와 민주의 새 길에 함께 나섰던 것처럼 지금 우리도 평화와 번영의 새 길에 함께 나서기를 다짐하자”고 독려했다.
기념식 후 열린 재현행사에서는 당시 시위에 참여한 민주의거자와 대전고, 대전여고, 둔원고, 괴정고 4개 학교 학생들이 거리행진을 벌여 눈길을 끌었다. 시청사 둘레길을 배경으로 전문배우들의 출정식 퍼포먼스에 이어 당시 상황을 재현한 가두행진, 시위진압 퍼포먼스를 진행하며 3.8민주의거의 역사적 의의를 시민과 함께 공유했다.
한편, 3.8민주의거는 지난 1960년 3월 8일 대전고 학생 1000여명이 자유당의 부정부패 및 정부통령선거 전략을 규탄하고 학원 자유 쟁취를 위해 시위 감행했다. 당초 학도호국단을 중심으로 전체 고등학교가 연대 시위를 계획했으나, 사전 발각돼 경찰이 저지하는 가운데 대전고만 시위를 강행했다.
3월 10일에는 연행된 학도호국단 대표들의 석방을 외치며, 대전상업고등학교 학생 600여명이 시위를 진행한다. 시위 과정에서 많은 학생들이 경찰의 진압과 도주 과정에서 부상을 당했고, 2명의 교사가 체포됐다. 이 과정을 3․8민주의거라 칭했고, 4․19혁명의 단초가 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