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성난 안면도민 “충남도, 언제까지 우롱할 것인가”
성난 안면도민 “충남도, 언제까지 우롱할 것인가”
  • 안성원 기자
  • 승인 2019.05.27 14: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민들 대책위, 충남도 지명위 ‘원산안면대교’ 반발…양승조 지사 사과 및 재심의 촉구
27일 안면도 고남 발전협의회와 이장단협의회 등으로 구성된 ‘충남도지명위 결정 반대대책위원회'는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원산안면대교’ 명칭 재심의를 요구했다. 서재만 위원장의 발언 모습. 

[충청헤럴드=내포 안성원 기자] 충남 태안군 주민들의 ‘원산안면대교’ 명칭에 대한 반발(본보 22일자 <충남도, 원산도~안면도 연륙교 명칭선정 ‘진통’>보도)이 거세지고 있다. 

27일 안면도 고남 발전협의회와 이장단협의회 등으로 구성된 ‘충남도지명위 결정 반대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원산도와 태안군 안면도를 잇는 연륙교 명칭에 대한 재심의를 요구했다.

대책위는 “380년 전 판목운하의 단절로 시작해 해방 후 경작지의 일방적인 무상증여, 1970년대부터 시작된 한국유리의 무분별한 규사채취, 현대AB지구 간척개발로 인한 해태산업 붕괴, 비합리적인 국립공원 지정, 1990년 안면도핵폐기물처분장 음모, 29년간 우롱한 안면도관광지개발사업 등 섬사람의 슬픈 역사가 이번 명칭선정에 이어지고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다리명칭이 지니는 도로기능 이상의 가치에 대해 숙고하면서 지명중심의 작명은 지역갈등이 야기될 것이라는 우려를 갖고 오랜 시간 공모하고 논의해 ‘솔빛대교’란 안을 제시했음에도 오히려 갈등만 초래하는 작명을 했다”며 “도는 즉각 폐기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기존의 입장을 강조했다.

특히 “도 지명위의 구성원 10인 중 태안과 보령의 지역대표가 없었다. 구성 자체가 잘못됐다”며 “도의 중재안이던 ‘천수만대교’도 위원 한 명이 ‘일제시대에 지은 명칭’이라는 지적에 모두 ‘원산안면대교’로 동의했다. 하지만 ‘원산’이라는 이름도 일제 때 지어진 것”이라고 지명위의 역할을 정면으로 비난했다.

이어 “이런 비민주적이고 부당한 지명과정에 반박하고 조율할 수 있는 도청 공무원이 없었다는 것이 안타깝다. 지역 주민보다 못한 인식을 갖고 있다”며 “보령시는 원산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것에 만족할 수 있지만 지명만으로 정하게 되면 항상 분쟁이 생긴다. 상징성을 갖는 명칭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꼭 ‘솔빛대교’만을 고집하는 것도 아니다. 지명이 아닌 상징성을 갖춘다면 수용할 의사가 있다. 오늘 양승조 도지사와의 간담회에서는 ‘황해대교’를 제안하기도 했다”며 “지명위가 최소한 현장을 방문하고 역사적인 배경을 공부했다면 이처럼 무책임한 작명은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대책위는 기자회견에 앞서 양승조 지사와 간담회를 갖고 명칭 철회 및 재심의를 요구했다. 하지만 양 지사는 행정의 공정성을 이유로 들며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 자리에서 양 지사는 대책위의 재심요구에 “만약 재심을 하게 된다면 (기존 명칭에 찬성하고 있는) 보령시민이 반발하게 될 것”이라며 “태안군민과 보령시민 의견을 100% 수용할 순 없다. 진지하게 고민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또 둘 이상 지자를 연결하는 교량에 대한 명칭은 해당 지자체장의 의견을 듣고 의결해야 하는 공간정보 관리법 위반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을 위반했다면 응분의 책임을 지어야한다”며 “위법여부를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