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환중 충남대병원장 "기존 인력과 장비 최대 활용하는게 나아"

19일 오전 충남대에서 열린 국회 교육문화위원회의 충남대병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충남대와 충북대병원장은 공공의대 설립에 대한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더불어민주당 서동용 의원(순천광양곡성구례)은 “의료 보조 역할을 하는 불법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가 매년 증가하는데 정작 지방의 국·공립 대학은 전공의 증원을 위한 공공의대 설립 정책에 반대하고 있다”며 “의사가 아닌 PA가 환자를 진료하는 것은 명백한 의료법 위반으로 지방 병원에 전공의 수가 턱없이 부족한 지금 지방 병원이 공공의대 설립에 반대하는 이유가 뭐냐”고 추궁했다.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인천강화옹진군)의원도 “공공의대 설립에 찬성하는지 의견을 제시해달라”며 병원장들의 입장을 물었다.
이에 대해 윤환중 충남대병원장은 “공공의대를 신규 설립·운영하는데 예산과 자원을 새로 투입하는 것보다 국립병원이 가진 우수한 인력과 장비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낫기 때문”이라며 “환자를 실제로 치료하는 임상 의사는 현재 국립대 의대에서 육성하게 하고, 공공의대는 역학조사관 등 공무직 의사를 육성하는 방향으로 운영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헌석 충북대병원장도 “공공의대는 입학 절차부터 문제가 많고, 졸업 후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 없이 의대를 설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비수도권 지역의 의료 격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 의대의 ‘지역 인재 할당제’ 기준을 공고히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열린민주당 강민정 의원(비례) 의원은 “지역 인재 할당제를 통한 충남대 의대 신규 입학생 53명 중 10명이 비충남권 인재”라면서 “현재 지역 인재 입학 전형은 지원자의 출신 고등학교만 도내에 있으면 모두가 지원 가능한데 여기에 출신·거주지 조건을 추가해 지역인재가 들어올 수 있는 실질적인 토대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환중 충남대병원장은 "비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의사 수를 늘리려면 해당 지역 출신 학생들을 많이 높여야 한다"며 강 의원의 의견에 동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