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효문화진흥원(원장 장시성)이 출범한 지 10개월밖에 안 됐으나, 원장을 비롯해 8명이 직원 채용 비리 의혹에 휩싸이며 큰 위기를 맞았다.
장 원장을 비롯한 직원들이 피의자 신분으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고, 급기야 진행 중인 신규 채용마저 중단된 것이다.
대전효문화진흥원은 23일 지난해 말부터 진행해 온 1급 상당의 사무처장 채용 절차를 전면 중지했다고 밝혔다.
![출범한 지 10개월밖에 안 된 대전효문화진흥원(원장 장시성)이 원장을 비롯해 8명이 직원 채용비리 의혹에 휩싸이며 큰 위기를 맞았다.[사진=대전효문화진흥원 홈페이지켑처]](/news/photo/201801/1968_2342_1234.jpg)
경찰의 채용 비리 의혹 조사가 진행 중이고, 인사제도 규정 보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대전효문화진흥원 측은 "직원 채용과 관련해 사법당국의 수사가 진행되고 있고, 일부 인사 규정 미비 사항이 제기돼 불가피하게 사무처장 채용 절차를 중단한다"파며 "미비 사항을 개정 보완해 채용 절차를 다시 진행하겠다"라고 중단 배경을 설명했다.
지난해 3월 설립된 대전 효문화진흥원은 그해 7월 첫 신입 직원을 채용했다.
이후 4급 신입 직원 채용 공고를 내고 1차 서류합격자 15명, 2차 논술시험 합격자 7명을 선발한 뒤 3차 면접심사를 통해 8월에 최종합격자 1명을 뽑았다.
그러나 이 과정에 지역 유명 사업가와 대전시장 측근이 얽힌 채용 비리가 있었다는 투서가 접수돼 대전 둔산경찰서가 수사에 나섰다.

사업가 자녀인 최종 합격자는 필기시험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면접 심사에서 1위에 올라 최종 합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1·2차 평가 점수가 최하위권인 최종 합격자가 3차 면접평가에서 1위로 오른 채용 방식을 문제 삼았다.
때문에 효문화진흥원 측이 신규 직원 채용 절차를 중단하고 제도 개선에 나선 것이다.
진흥원 인사 규정에는 최종 합격자를 결정할 때 1차 시험 합격자 중 논술시험과 면접시험 고득점자순으로 한다고 규정돼 있지만, 진흥원 측은 이번 채용에서 1·2·3차 평가를 독립적으로 구분해 합격자를 뽑았다고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효문화진흥원은 대외적으로 채용 방식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인사 제도를 뜯어고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원장을 비롯한 직원들이 채용 비리 의혹으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고, 직원 신규 채용마저 중단되면서 설립 10개월밖에 되지 않은 효문화진흥원의 대외 이미지가 급격히 추락했다.
장시성 효문화진흥원장은 "1·2차 평가 점수와 3차 면접 점수를 합산해야 한다는 논리는 성립되지 않는다"라며 "경찰 조사로 조직 구성원 간 갈등이 비화하고, 대외 이미지가 추락한 만큼 서둘러 수사를 종결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