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양승조 “충남도 정무부지사, 문화·복지 강화역할 부여”
양승조 “충남도 정무부지사, 문화·복지 강화역할 부여”
  • [충청헤럴드=안성원 기자]
  • 승인 2018.06.19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부지사' 명칭변경 시사…“인권조례, 3농 혁신 등 안희정 성과는 이어갈 것”
양승조 충남도지사 당선인이 19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선7기 도정 방향을 설명했다.

양승조 충남도지사 당선인이 민선7기 충남도정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 경제에 매몰되기 보다는 문화와 복지를 통한 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 방점을 찍었다. 이를 위한 조직개편은 물론, 안희정 전 지사의 성과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19일 양 당선인은 충남도청에서 가진 인수위 출범 기자회견에서 정무부지사 인선을 묻은 질문에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도 중요하지만, 여기에 매몰되면 도민들이 행복한 세상은 오지 않는다. 그런 면에서 정무부지사는 경제와 함께 품격 있는 충남을 위한 문화·예술분야를 중시하는 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명칭도 내부적인 절차를 검토해야겠지만, 문화부지사 등으로 변경하려 한다. 꼭 문화·예술분야 전문가는 아니더라도 그 기능을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따라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문화부지사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인물, 정파와 개인적 이념을 넘어 실력과 인품, 가치와 철학을 함께 할 수 있는 인물을 모시려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특히 인권조례와 3농혁신 등 전임 안희정 전 지사의 정책들에 대한 성과의 연속성을 강조했다.

양 당선인은 “3농혁신 예산이 7년에 7조 원이 들어갔다는 주장이 있는데 선거 과정에서 과장된 면이 있다. 농업예산이 1년에 1조 원이 안 된다. 확실한 것은 취지와 목적은 분명히 살려야 한다. 17개 시·도 중 대한민국의 농업을 고민하고 실현하려 한 도지사가 없다. 과가 있다면 개선해야 하지만 공은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인권조례와 관련해서도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주도적으로 만든 조례가 시행 5년간 아무 문제가 없었는데 갑자기 동성애조장, 일부일처제 파괴 등의 논리로 폐지됐다. 그런 주장은 찾아볼 수 없다. 헌법상 평등원칙이 녹아있는 훌륭한 조례”라며 “다만 지금 대법원의 판례를 지켜보고 결정하려 한다. 극단적으로 반대하는 사람들의 의견도 들어보려 한다. 기본적으로는 다시 제정돼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직개편 계획과 관련해서는 “저출산극복 의지를 담아 대한민국의 선제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실천할 수 있으면 좋겠다. 남북평화시대를 맞아 도 차원에서 황해도와 개성 등 자매결연을 통해 지방정부 교류를 강화할 필요가 있고, 통일 전문가도 양성해야 한다. 이런 정치철학이 있으니 그런 방향으로 개편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경선 주자쪽 인사와 공약 수용에 대해서는 “인수위에는 선거캠프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분들이 맡았지만, 실제 도정은 캠프를 떠나 충남 전체, 나아가 대한민국 전체를 눈을 넓히려 한다”면서 “경선 후보들의 공약은 정당이 같다 보니 상당부분 중첩된다. 혹시 필요한 공약이 있다면 일말의 주저함 없이 수용하겠다”고 확신했다.

이밖에 도지사 공관에 대해 “호화공관 논란은 주관적이다. 도민들의 의견을 듣고 호화공관 논란이 있다면 굳이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충분히 의견을 듣고 활용방안을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끝으로 양 당선인은 “앞으로 도정을 펼치면서 은폐하거나 숨길 생각은 전혀 없다. 의문이 들거나 잘못됐다고 생각된다면 언제든지 말씀해달라”며 “되도록이면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이라도 자주 브리핑 기회를 만들어 방안을 모색하고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