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창호 인수위 대변인 센터장 내정…연말 조직개편 시 공모제로 전환

충남도 미디어센터가 양승조 당선자가 이끄는 민선7기 도정에서도 존치될 전망이다. 안희정 전 지사의 대선용 홍보조직이라는 논란 때문에 폐지까지 검토된 만큼, 존치 결정에 대한 논란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24일 양승조 당선인의 인수위원회인 ‘더 행복한 충남 준비위원회’에 따르면, 양 당선인은 기존대로 민선7기에도 미디어센터를 운영하고 맹창호 인수위 대변인을 미디어센터장 내정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지난 2011년 설치된 충남도 미디어센터는 공보관실 산하 조직으로, 온라인팀, 도정신문팀, 콘텐츠팀 등 3개 팀으로 구성됐다. 주요 업무는 홈페이지관리, 인터넷방송국 운영, SNS시스템 관리, 도정신문 등 정기간행물 발행, 도정홍보 콘텐츠 발굴 등이며 서기관(4급)급 센터장과 5·6급 상당의 팀장이 임기제공무원으로 임명돼 왔다.
하지만 도정 홍보 보다는 안 전 지사의 개인 홍보에 충실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지난 대선을 기점으로 기존 도정 영상팀과 별도로 제작했던 안 전 지사의 활동영상이나, 도정 외의 정치활동까지 동원돼 비판을 받았다.
인력 구성 역시 전문성을 인정받은 인사 외에 선거캠프나 정치조직에서 전격 영입된 사람들이 임명되기도 했다. 무엇보다 공보관(4급) 산하 조직임에도 센터장이 공보관과 동급인 서기관 대우를 받으면서 공직사회 내 뒷말이 무성했다. 사실상 안 전 지사와 정치적 동지라는 점에서 공보관 이상의 영향력을 행사했고, 공무원들은 어쩔 수 없이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미디어센터 근무 인력들은 안 전 지사가 성폭행 논란으로 중도사퇴하자 전문성 여부와 상관없이 동시에 사퇴했다. 안 전 지사의 ‘사조직’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갖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 같은 이유에서 도의회에서 지방선거 직전 미디어센터 해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안 전 지사의 사태가 발생한 뒤인 지난 3월 29일 충남도의회 유익환 의장은 언론간담회에서 “3농혁신과 미디어센터 관련된 부분은 집행부에서 심사숙고해야 할 사안이다. 거품을 걷어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4월 23일 도지사권한대행 중이던 남궁영 행정부지사 역시 “새로운 도지사 취임에 앞서 준비 중인 조직개편안에 미디어센터 문제를 중요한 아이템으로 포함시켜 검토 중”이라고 응답했다.
인수위 "미디어센터 기능 필요"…"민선6기 사례 교훈 삼아야" 우려키도
그러나 양승조 당선인과 인수위는 조직의 기능이 아니라 ‘측근인사’가 문제였던 만큼 역할을 유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충청헤럴드>와의 통화에서 “대변인 체제 전환 의견도 있었지만 당장 칼을 휘둘러 행정기구를 바꾸기 보다는 도정공백을 최소화 하고 안정적인 운영을 선택했다. 추후라도 대변인제 전환 필요성이 있다면 개선할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메시지 팀장을 공모하기로 했고 연말 조직개편에서 미디어센터장을 공모제로 전환해 전문성을 강화하려 한다. 당선인 측근을 위한 자리가 아니라 전문성을 인정받는다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 갑질논란 등 공직 내부에서 잡음이 생기면 언제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이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여전하다.
유익환 의장은 “미디어센터가 직원들이 안 전 지사 사태와 동시에 사퇴했다. 책임 있는 공직자의 자세가 전혀 없었다. 사조직임을 인정한 것 아니냐”며 “도정 홍보를 위해 얼마나 능력을 발휘했는지도 모르겠다. 이런 조직이 있을 필요가 있을까 싶다”고 혹평했다.
이어 “공모직으로 전환해서 전문성과 객관성을 키운다는 이야기는 어느 조직에서나 나오는 이야기다. 측근을 데려다놓고 쓰겠다고 하는 사람은 없다”면서 “역사라는 것은 하나의 교훈이다. 미디어센터도 초심을 잃고 변질됐다. 그동안 해왔던 업무가 있는데, 크게 변하긴 어려워 보인다. 그런 점에서 걱정이 앞선다”고 우려했다.
양승조는 안지사가 다 잘못했다네
인격의 차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