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포신도시 열병합발전소가 LNG방식 전환을 놓고 막판 협상을 진행하고 있어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충남도에 따르면, 사업인허가권자인 산업자원부와 열병합발전소 사업자인 내포그린에너지, 충남도 등이 SRF(폐기물 고형연료) 대신 천연가스인 LNG를 사용하는 방향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산업부와 충남도는 내포신도시 주민들의 SRF방식 반대에 따라 내포그린에너지 측에 500MW급 LNG 열병합발전소와 함께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설을 지어 SRF를 대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내포그린에너지 측은 이미 2,000억 원에 달하는 투자비용이 들어간 상황에서 사업방식을 바꾸는 것에 반대하며 행정심판을 제소하는 등 법적인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산업부가 ‘환경부 통합승인’과 ‘주민동의’ 등을 전제로 한 조건부 승인을 내주면서 사실상 방향전환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최근에는 내포그린에너지에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미래엔서해에너지가 25억 원에 달하는 체납요금을 납부하지 않을 경우 8월 말 가스공급 중단을 예고하고 나서면서 시간적 여유까지 촉박해진 상황이다.
산업부와 사업자, 도까지 모두 방식을 전환하는 데 의견을 모았지만 ‘경제성’을 담보할 수 있느냐가 걸림돌이 되고 있다. 도와 산업부에서도 공공부문이긴 하지만 사업자에게 수익성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로 사업을 강요할 순 없는 입장이다.
이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한국지역난방공사보다 에너지공급 요금을 더 높게 책정하도록 허용하는 방안과 충남도가 제공하는 부지에 60MW 규모 연료전지발전소를 건립하는 방안 등의 대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내포그린에너지 공사비용 지원을 위한 LH 등 공기업을 통한 금융권의 자금융통 방안도 협의 중이다.
도 관계자는 “당장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는 상황은 내포그린에너지 측에서 사무실 임대보증금을 담보로 임시 자금을 확보하기로 해 위기를 넘겼다. 그러나 이달 말까지 협상을 마무리 짓지 않을 경우, 협상 당사자 모두 타격을 입는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라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는 또 “발전방식 전환에 대해서는 의견이 모아졌지만 사업자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관건”이라며 “여러 가지 방안을 놓고 머리를 맞대고 있다.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27일 나소열 정무부지사는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현재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인 방향은 잘 정리되는 편”이라며 “앞으로도 중간에 우여곡절이 있을 수도 있지만 문제가 없도록 추진하고 있다. 담당 부서에서 이번 주 중에 좋은 성과가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라고 긍정적인 가능성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