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1-06-23 08:46 (수)
LNG로 전환한 내포열병합발전소, 이번엔 ‘규모’ 갈등
LNG로 전환한 내포열병합발전소, 이번엔 ‘규모’ 갈등
  • 강경민 기자
  • 승인 2019.07.22 1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부 주민 “555MW 초대형발전소, 웬말인가”…“주민 몰래 환경영향평가 진행” 규탄
내포열병합발전소의 규모가 주민들과 협의 없이 당초보다 5배 이상 확대됐다며 일부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충청헤럴드 내포=강경민 기자] 내포열병합발전소를 두고 일부 주민들이 다시 반발하고 있다. 당초 논란이 됐던 SRF(고형폐기물연료)는 LNG(액화천연가스)로 변경했만 이번에는 발전소의 용량을 문제 삼고 있다.

22일 ‘내포 555MW 발전소 저지 주민대책위(대책위)’는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업 재검토를 촉구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2010년 산업통상자원부는 내포신도시 인구 10만 명에 집단에너지사업을 75.5MW(열 607Gcal/h) 규모가 적정하다고 승인했다.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LNG방식의 열병합발전소 환경영향평가는 555MW로 규모가 5배 이상 확대됐으며, 이 과정에서 주민들과 어떤 협의나 의견수렴 과정이 없었다는 게 대책위의 주장이다.

특히, 현재 집단에너지 시설이 추진되고 있는 경남 양산의 경우 6만 3514가구에 발전용량이 114MW지만, 3만 9822가구의 내포신도시가 550MW로 설계됐다는 건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책위는 “LNG에서도 톨루엔과 벤젠 등 유해물질이 검출될 수 있고 반경 1㎞ 안에 초·중·고가 몰려 있다. 그런데 도는 근거도 없이 유해가스가 거의 없다며 사업자의 수익보장만 생각하고 있다”며 “충남도는 밀실행정을 그만두고 발전용량을 전면 재검토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산업부가 SRF방식으로 추진할 당시, 주민 합의 후 사업을 진행토록 하라고 결정내린 건 집단에너지 사업에 대한 주민수용송을 중요시 한 결정이었다”며 “연료가 전환되고 용량이 변경되는 과정에서도 이런 원칙은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남도와 산업통상자원부, 내포그린에너지 측이 3일 기존 SRF방식에서 LNG방식으로의 전환을 공식 선포할 예정이다. 내포신도시 열병합발전소 현장 모습. 
내포신도시 열병합발전소 건설현장 모습.

하지만 도는 지금 계획 중인 용량도 사업자(내포그린에너지)가 투자금을 마련하기 어려울 정도로 긴축된 상황이라며 대책위의 주장을 반박했다.

도 관계자는 “애초에 사업자는 1000MW를 요구했다. 그래도 금융권에서 출자를 할지 말지 모를 정도라고 했지만 줄이고 줄인 것”이라며 “애초 주민들이 세종시를 모델로 삼았다. 세종은 처음 530MW 시설로 건립했다가 500MW를 증성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분당도 920MW, 일산도 900MW 등 일반적인 신도시 시설은 1000MW 수준이다. 양산의 경우 기존 폐기물 소각장에서 열 공급을 받기 때문에 발전용량이 적다”며 “일부 주민들(대책위)이 반발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내포 주민들이 공감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도는 지난해 9월 산업부와 ‘내포신도시 열병합발전소 청정연료 전환 선포식’을 갖고 LNG를 주연료로 하는 열병합발전소(LNG발전 495MW+수소연료전지 60MW) 건립을 진행 중이다.

내포그린에너지는 환경영향평가 초안에 대해 오는 23일과 24일 예산 삽교읍 내포출장소와 홍성 홍북읍 내포출장소에서 각각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