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헤럴드 아산=안성원 기자] 재정 부담으로 원점으로 돌아간 아산시 문예회관 건립사업이 더 이상 미뤄져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재추진 과정에서 기존 사업의 공모 당선업체와의 관계도 확실하게 정리해야 한다는 쓴소리도 나왔다.
지난 18일 열린 아산시의회 시정질문에서 이의상 의원은 “15년간 답보상태인 문예회관은 언젠가는 지어져야 할, 꼭 필요한 시설”이라며 “이제는 인구 34만의 시대를 맞으며 시민들의 문화갈증이 커지고 있다. 더 이상 늦어지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하지만 시는 지원받은 국도비마저 반납하고 이자만 2억4400만 원 내게 됐다”며 “이 정도면 시민들이 봤을 때 문예회관 건립의지가 없다고 볼 수 있다”고 오 시장의 추궁했다.
또 “2014년 문예회관 신축 설계공모에 당선된 업체는 다음해 전국체전 개최로 인한 재정 부담을 이유로 시로부터 일방적인 사업 중단을 통보받았다. 전형적인 행정의 횡포라는 반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 사업 재개 시 이 문제를 어떻게든 매듭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오세현 시장은 “저도 실제 현장에서 문화인프라 부족을 지적하는 시민들의 의견을 많이 들었고 공감하고 있다”며 “전국체전 개최 당시 의사결정권자들이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되는 문예회관의 건립은 버겁다고 판단해 보류한 것 같다”고 입장을 정리했다.
그러면서 “문예회관 국도비는 추후 예산을 집행하려 했는데 국가재정법상 2년 이상 이월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부득이 반납하게 됐다. 민자유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재정을 확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공모 당선업체에 대해서는 “현재 새로운 절차를 밟기 위해 기본계획 용역을 진행 중이다. 이후 중단된 기존 계획에서 시의 법적인 책임은 어느 정도인지 검토해야 할 것 같다”며 “해당 업체와 협의를 통해 (용역 결과로 인해) 바뀐 부분이 반영될 수 있는 지 논의해보고, 틀 자체가 바뀌어서 반영이 어렵다면 타절 등을 결정내리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2004년 9월 충남도 투융자심사 승인을 받아 추진된 아산시 문예회관 건립 사업은 2010년 5월 주앙투융자심사에서 규모축소 권고를 조건부로 승인을 받아 사업계획을 변경, 2013년 재추진 하던 중 2015년 세입감소 및 전국체전 준비 등 재정여건의 어려움으로 사업이 중단됐다.
이후 민선7기 오세현 아산시장의 공약사업으로 선정, 올해 2월 아산문예회관 건립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4월 아산문예회관 건립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착수해 진행 중이다.
하지만 2004년 지원된 국비 10억 원을 2007년 사업 미추진을 사유로 이자까지 1억3600여 만 원을 반납했으며, 2005년 교부받은 국비 5억 원과 2010년 도비 20억 원 역시 각각 5800여만 원과 1억4800여만 원의 이자를 포함해 반납하게 됐다.
시는 지금까지 진행된 기본계획 용역에 따라, 2024년까지 1163억 원(도비 20억, 시비 1143억)을 들여 권곡문화공원 내(아산시 권곡동 448-11번지 일원) 대지면적 4만6545㎡, 연면적 1만8080㎡, 건축면적 6945㎡에 지하 2층·지상 2층 규모로 1000석 내외의 대공연장, 300석 내외 소공연장, 전시장 및 교육장 등 조성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