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5번 정지한 원자로 감독 능력있나"

[충청헤럴드 대전=박기원 기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하나로 원자로를 재가동하기로 결정한데 대해 시민단체가 반발했다.
대전충남녹색연합(녹색연합)·대전환경운동연합 등 9개 단체는 30일 오전 한국원자력연구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원자력연구원에 더 이상 위험한 핵시설과 연구를 맡길 수 없다”고 말했다.
녹색연합은 "원자력연구원은 지난 2017년 방사성 폐종 방사성 폐기물의 임의 소각, 무단 배출 등 관련 법률을 위반한 건수만 수십 건에 달했다”며 "연구원이 원자력시설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믿는 시민은 한 명도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방사능 물질 오염 중수노출, 우라늄 분실, 핵폐기물 불법 매각 등 수 많은 논란에 휩싸였는데 이런 연구원이 지난 5년간 5번 정지한 가동률 5%인 하나로 원자로의 재가동을 승인한 것은 기가 막힐 따름”이라고 비판했다.

진보당 대전시당 김선재 부위원장은 “대전시에는 핵연료 생산공장, 핵발전소, 핵실험장, 폐기장 등 핵무기 빼고 다 있다”며 “시민들은 핵과 관련된 각종 사건 속에 불안한 삶을 살고 있는데 시와 연구원은 언제까지 방관할 것이냐"고 지적했다.
대전 유성구 덕진동 원자력연구원에 설치된 하나로 원자로는 1995년 첫 가동에 들어간 30㎿급 연구용 원자로로, 일반 원자력발전소와는 달리 전기를 생산하지 않는 '과학 연구 목적' 원자로로 사용돼왔다.
가동 20년만인 지난 2014년 7월 과부하로 수동 정지된 후 2017년 12월 6일 재가동 승인을 받았지만 5일 만인 11일 '방사선 차폐에 쓰이는 수조 고온층 표면의 방사선 준위 상승'으로 정지됐다.
이후 2018년 5월 가동이 재개됐으나 두 달 만에 '냉중성자원 수소계통 이상'으로 또 다시 정지돼 그해 11월 한 달을 채 버티지 못하고 '냉중성자원 설비 이상'으로 수동 정지됐다.
대전시는 "실효성 있는 주민 보호 체계가 갖춰지도록 노력해 원자력시설 안전성에 대한 시민 불안이 해소되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