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확진 대비 인재개발원 등에 스마트워크센터 조성

[충청헤럴드 대전=박종명 기자] 대전시는 시청 출입기자 2명이 연이어 코로나19에 확진됨에 따라 거리두기 3단계에 준해 청사 방호와 복무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강도 높은 방역 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시는 출입기자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자 시청 기자실을 일시 폐쇄한 후 방역한데 이어 확진자와 밀접 접촉한 기자 17명과 직원 2명에 대해 검사를 실시한 결과 기자 1명이 추가로 확진됐다.
이와 함께 확진자와 접촉 가능성이 있는 관련부서 직원 12명과 기자 3명을 추가로 검사한 결과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시는 현재 추가 확진자를 제외한 밀접접촉자 18명(직원 2명, 출입기자 16명)에 대해서는 2주간 자가격리 조치한 상태다.
시는 출입기자 1명이 추가 확진됨에 따라 해당 부서 미검사자와 출입기자에 대한 전수검사를 진행중이다.
시는 이와 함께 직원 자녀가 확진됐다는 통보에 따라 해당 직원과 함께 근무하고 있는 부서 전 직원을 자택에 대기시켰지만 검사 결과 음성 판정을 받아 오후부터 정상적으로 근무시켰다. 확진자 자녀의 부모는 2주간 자가격리 조치했다.
시는 시청 출입기자의 연이은 확진에 따라 대전시뿐 아니라 사업소, 자치구,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 등에 대해서도 더 강화된 방역 조치를 시행하도록 지침을 시달했다.
지난 2월 코로나 발병 초기부터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모든 출입자에 대해 발열 여부를 조사했지만 24일부터는 출입자 한명 한명에 대해 발열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시는 열화상 카메라의 기능 향상을 위해 출입자 전원에 대한 열감지가 가능한 게이트형 열감지 장비를 보강, 주요 출입구 6개소에 설치할 계획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시행에 따라 사무실의 밀집도를 줄이기 위해 25일부터 직원의 3분의 1을 재택근무 시키고, 시차출퇴근제로 전환해 시행한다.
시청 직원이 코로나19에 확진돼 사무실 공간을 폐쇄했을 경우에 대비, 행정기능 유지를 위해 인재개발원, 한밭도서관 등 시 본청과 분리된 공간에 스마트워크센터를 조성해 분산 근무하도록 할 계획이다.
허태정 시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시민들의 일상을 지원하는 공공청사까지 위태로운 상황에 놓이게 돼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게 된 점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의 행정력 유지와 지역사회 모두의 안전을 위해 한 차원 높은 선제 조치가 요구되는 상황"이라며 "청사 방문보다는 담당 공무원과의 협의를 통해 전화 등의 비대면 수단을 적극 활용해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대전에서는 지난 15일 광화문 집회로 코로나19가 재확산되기 시작해 확진자가 10일 사이 65명을 넘어서 누적 확진자가 232명에 이르고 있다.
시는 확진자 급증에 대비 보훈병원에 음압시설 등 28병상을 추가로 설치에 26일부터 운영에 들어가고, 제1시립노인요양병원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관련 절차를 진행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