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서 상대적 소외감 느낀 천안시민 환영…견제기능 및 균형 상실 우려

6.13지방선거 결과 충남도정 사상 처음으로 ‘천안시대’가 열리게 됐다.
천안지역 국회의원 출신인 양승조 도지사. 재선에 성공한 김지철 충남도교육감도 천안 출신인데다, 충남도의회 역시 더불어민주당이 싹쓸이 한 가운데 유일한 3선인 유병국 의원(천안10)이 도의회 의장으로 유력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천안지역 정가에서는 대놓고 내색은 못해도 반기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그동안 천안시가 도내 최대 도시였지만 충남도정 내 무게감은 떨어졌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도세에서 천안이 차지하는 역할에 비해 환원 받는 비율이 적다는 불만도 적지 않았다.
실제로, 전종한 천안시의장은 “새로운 변화의 시대에는 천안이 충남에서 수부도시로서의 역할을 그리고 충남의 맏형 역할을 제대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어느 때 보다도 천안지역 출신의 충남도지사가 절실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이 같은 논리를 내세우며 지난해 10월 충남도지사 도전을 밝혔지만, 양승조 당시 천안병 국회의원의 출마소식에 출마를 접고 지지를 선언한 바 있다.
충남도의회의 정당별 의석수를 보면, 양승조 당선자의 도정은 안희정 전 지사에 비해 훨씬 수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총 42석 가운데 같은 당인 민주당이 33석으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천안지역 도의원들은 전원 민주당이다.
특히, 전반기 의장은 다수당의 다선의원이 맡는 관례로 볼 때 유병국 의원이 확정적이다. 유 의원은 17~18대 국회의원 시절 7년 동안 양 당선자의 보좌관을 지낸바 있다. 누구보다 서로를 잘 알고 있는, ‘정치적 동반자’로 봐도 과언이 아니다.
이 때문에 지난 10대 의회 때 폐지된 충남인권조례의 부활에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김지철호 충남교육행정의 앞날도 밝게 점쳐진다. 김 교육감의 지지기반인 천안에서 진보성향의 민주당 도의원들이 대거 포진해 있는 구도다. 10대 의회에서 지난해 말 본예산에서 무려 122억여 원이나 삭감됐던 김 교육감과 충남도교육청 집행부로서는 환영할 수밖에 없는 소식이다.
반면 이 같은 상황을 ‘천안 출신 인사의 독점’으로 바라보는 우려의 시선도 존재한다.
여당이 80%를 차지하는데다, 의장으로 유력한 유병국 의원이 양승조 당선자의 보좌관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도의회가 견제기능을 상실한 채 ‘거수기’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것.
이와 관련 유병국 의원은 “민주당 당선자 중 제가 유일하게 3선이라는 점에서 전반기 의장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고 인정하면서도, “일부 (천안출신 독점) 우려도 있을 수 있지만, 도민들의 선택을 받은 도의원 당선자라면 충분히 공과 사를 구별할 역량은 갖추고 있다. 개인적인 친분을 떠나 공적인 영역은 본연의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